알바생, 직장인 필독! 주휴수당, 제대로 알고 받아야 내 월급 제대로 챙길 수 있습니다. 최신 주휴수당 계산법부터 지급 조건, 못 받았을 때 대처 방법까지, 이 글 하나로 완벽하게 정리해드립니다.
1. 주휴수당, 정확히 뭘까요?
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개근했을 경우 유급 휴일에 받는 수당입니다.즉, 일주일 동안 정해진 근무 시간을 모두 채우고 결근하지 않으면, 쉬는 날에도 돈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주휴수당, 혹시 나도 못 받고 있는 건 아닐까?
2. 주휴수당, 누가 받을 수 있나요?
주휴수당은 아래 조건들을 모두 충족하는 근로자에게 지급됩니다. 자 그럼 살펴볼까요?
- 1주 소정근로시간 15시간 이상: 일주일 동안 정해진 근무 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 합니다.
- 1주 개근: 해당 주에 결근 없이 모두 출근해야 합니다. (지각, 조퇴는 허용될 수 있음)
- 4주 동안 평균 1주 소정근로시간 15시간 이상: 4주 동안 평균 근무 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 합니다.
참고 : 주휴수당은 5인 미만 사업장에도 적용됩니다.
Q. 수습 기간에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A. 네, 수습 기간에도 주휴수당 지급 조건을 충족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3. 주휴수당,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주휴수당은 1일 소정근로시간 x 시급으로 계산합니다. 1일 소정근로시간은 1주 소정근로시간을 5일로 나눈 값입니다.
< 주휴수당 계산 예시 >
항목 | 내용 |
1주 소정근로시간 | 40시간 |
1일 소정근로시간 | 8시간(40시간/5일) |
시급 | 10,000원 |
주휴수당 | 80,000원 (8시간 x 10,000원) |
참고 : 2024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9,860원입니다. (주휴수당 포함 월 환산액 2,060,740원)
Q. 주휴일에 근무하면 추가 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A. 네, 주휴일에 근무하면 주휴수당 외에 가산 수당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휴일근로수당)
4. 주휴수당, 못 받았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주휴수당을 받지 못했다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대처할 수 있습니다.
- 사업주에게 직접 요청: 주휴수당 미지급 사실을 알리고 지급을 요청합니다.
- 고용노동부 진정: 고용노동부에 진정을 제기하여 권리 구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노동위원회 구제 신청: 노동위원회에 구제 신청을 하여 체불 임금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참고 : 주휴수당 미지급 관련 증거 자료 (근로계약서, 임금 명세서, 출퇴근 기록 등)를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휴수당, 놓치면 전적으로 손해에요..! 최신 기준에 따라 주휴수당 계산법과 지급 조건을 확인하고, 정당한 권리를 행사하세요. 주휴수당 미지급 시 대처 방법까지 상세하게 안내해드렸으니 참고해보시구 궁금한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