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휴수당, 놓치면 손해! 주휴수당 조건, 폐지 및 계산법 꿀팁!

알바생, 직장인 필독! 주휴수당, 제대로 알고 받아야 내 월급 제대로 챙길 수 있습니다. 2024년 최신 주휴수당 계산법부터 지급 조건, 못 받았을 때 대처 방법까지, 이 글 하나로 완벽하게 정리해드립니다.

 

편집_istockphoto-1902996913-612x612.jpg
주휴수당 알고 받아보자!

 

주휴수당, 혹시 나도 못 받고 있는 건 아닐까? 최신 주휴수당 계산법과 지급 조건을 확인하고 내 권리를 지켜야 해요! 주휴수당 미지급 시 대처 방법과 자주 묻는 질문까지, 알바생과 직장인 모두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담았습니다.

 

아래 본문 내용을 잘 참고하셔서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1. 주휴수당, 정확히 뭘까요?

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개근했을 경우 유급 휴일에 받는 수당입니다. 즉, 일주일 동안 정해진 근무 시간을 모두 채우고 결근하지 않으면, 쉬는 날에도 돈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2. 주휴수당, 누가 받을 수 있나요?

주휴수당은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근로자에게 지급됩니다.

 

  • 1주 소정근로시간 15시간 이상: 일주일 동안 정해진 근무 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 합니다.
  • 1주 개근: 해당 주에 결근 없이 모두 출근해야 합니다. (지각, 조퇴는 허용될 수 있음)
  • 4주 동안 평균 1주 소정근로시간 15시간 이상: 4주 동안 평균 근무 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 합니다.

주의 : 주휴수당은 5인 미만 사업장에도 적용됩니다.

 

👉 그럼 주휴수당은 어떻게 지급되나요?

 

편집_istockphoto-872817600-612x612.jpg

 

3. 주휴수당,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주휴수당은 1일 소정근로시간 x 시급으로 계산합니다. 1일 소정근로시간은 1주 소정근로시간을 5일로 나눈 값입니다.

 

주휴수당 계산 예시

항목 내용
1주 소정근로시간 40시간
1일 소정근로시간 8시간(40시간 / 5일)
시급 10,000원
주휴수당 80,000원 (8시간 x 10,000원)

 

 
 

참고

2024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9,860원입니다. (주휴수당 포함 월 환산액 2,060,740원)

 

4. 주휴수당, 못 받았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만약 주휴수당을 받지 못했다면, 아래와 같은 방법도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1. 사업주에게 직접 요청: 주휴수당 미지급 사실을 알리고 지급을 요청합니다.
  2. 고용노동부 진정: 고용노동부에 진정을 제기하여 권리 구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3. 노동위원회 구제 신청: 노동위원회에 구제 신청을 하여 체불 임금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참고 : 주휴수당 미지급 관련 증거 자료 (근로계약서, 임금 명세서, 출퇴근 기록 등)를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자진퇴사후 주휴수당 신고..? (어떻게 되나요?)

편집_istockphoto-1096098840-612x612.jpg

 

5. 주휴수당 관련 자주 묻는 질문

Q. 주휴수당은 4대 보험료 계산에 포함되나요?

A. 네, 주휴수당은 4대 보험료 계산에 포함되는 임금입니다.

 

Q. 수습 기간에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A. 네, 수습 기간에도 주휴수당 지급 조건을 충족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Q. 주휴일에 근무하면 추가 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A. 네, 주휴일에 근무하면 주휴수당 외에 가산 수당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휴일근로수당)

 

주휴수당, 놓치면 손해! 2024년 최신 기준에 따라 주휴수당 계산법과 지급 조건을 확인하고, 정당한 권리를 행사하세요. 주휴수당 미지급 시 대처 방법까지 상세하게 알아 보았습니다.

 

etc-image-3etc-image-4